세상이야기/정치와 사회

한나라 2008년 7월 전당대회 錢爭 실상은

아진(서울) 2012. 1. 10. 08:58

 

한나라 2008년 7월 전당대회 錢爭 실상은
[서울신문]'30당(當) 20락(落)?', '20당 10락?'

전당대회가 치러질 때면 정치권에서 무성하게 나왔던 용어다. 당 대표가 되려면 20억~30억원을 써야 하고 그 아래의 금액을 썼을 때는 최고위원에 머문다는 의미다. 암암리에 이어진 돈 선거가 관행으로 굳어졌음을 드러내는 면이기도 하다.

●당협에서 먼저 돈 요구하기도

18대 국회 들어 세 차례 치러진 한나라당 전당대회의 경우 주로 계파 갈등으로 치열한 대립 양상이 펼쳐졌다. 2007년 12월 대선과 2008년 4월 총선을 마친 뒤 치러진 2008년 7·3 전당대회의 경우 계파 경쟁이 더욱 뚜렷했다. 당시 박희태 후보와 정몽준 후보의 양강 구도였다.

박희태 국회의장의 경우 총선에서 공천에 탈락한 원외 신분이었지만 친이(친이명박)계의 지원을 받았다. 김효재 청와대 정무수석이 당시 경선 상황실장을 맡았고 최병국·안경률·백성운·정태근 의원 등이 박 의장을 도왔다. 박 의장은 당시 당내 다수를 점한 친이계 의원들과 원외 당협위원장 등의 지원으로 당 조직 기반이 탄탄했다. 그러나 막판으로 갈수록 여론에서 우위를 점한 정몽준 전 대표가 추격하는 분위기였다. 당시 상황을 두고 한 정치권 관계자는 "박 의장 쪽에서 전대를 앞두고 역전될 것을 우려, 친이계 결집을 위해 '동원령'을 강화했을 것"이라고 회상했다. 전대를 사흘 앞두고 정 전 대표는 기자간담회에서 "금품을 주는 것을 금지하고 있는데 그런 일이 이미 일어나고 있다."면서 "물증도 갖고 있다."고 성토하기도 했다. 결국 정 전 대표는 여론조사에서 1위를 하고도 총득표 결과의 70%나 반영되는 당 대의원 투표에서 밀려 2위에 머물렀다.

2008년 전대에서는 아예 형식적인 선거비용의 제한도 없었다. 당 안팎에서는 암묵적으로 후보당 지출액이 20억~30억원에 이른다는 소문이 나돌았다. 2010년과 2011년에 치러진 전대에서는 2억~2억 5000만원의 선거비용 제한을 두기도 했지만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기준이라는 볼멘소리만 나왔을 뿐이다. 전국 245개 당협위원회에 300만원씩만 제공해도 7억 3500만원이 된다. 그러나 당세가 약한 호남·충청권 55~60개 당협에는 1000만원씩, 다른 곳에는 300만~500만원 상당의 돈이 지원되는 것이 '관례'로 여겨졌다. 단순히 합산해도 10억원을 훌쩍 넘는 액수다.

2008년 당협위원장을 맡았던 원외 인사는 "전대 선거운동 기간이 되면 각 캠프 쪽에서 개별적으로 '사람을 보내겠다'며 전화가 온다."고 전했다. '돈을 보내겠다'는 뜻이다. 이렇게 전해진 돈을 당협위원장들은 대의원들의 식대나 차비 등의 경비로 쓰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후보들 비용 1억~2억 신고

반면 2010년 전당대회 당시 한 후보의 경선캠프에서 일했던 인사는 "한나라당 약세지역에서는 전대 시즌이 다가오면 먼저 캠프로 찾아온다."면서 "자신이 보유한 대의원 명단을 직접 보여준 뒤 '이 정도 표를 모을 수 있으니 지원해 달라'고 노골적으로 요구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지난 2010년 7·14 전당대회에 출마했다 중도 사퇴한 조전혁 의원도 당시 선거를 앞두고 "충청·호남 당협위원장들은 '대목이 왔다'고들 하더라."고 했고 최근에는 "1000만원을 받았다는 원외 당협위원장도 있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선거 비용의 출처는 명확하지 않다. 2008년의 경우 대선을 마친 뒤여서 남은 대선자금이 쓰였을 것이라는 설(說)이 돌았고 2011년 전대 뒤에는 민주통합당 쪽에서 홍준표 전 대표를 향해 당의 외곽지원단체의 도움을 받았다는 의혹만 제기했을 뿐이다.

허백윤기자 baikyoon@seoul.co.kr

[서울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