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현 입력 2019.12.27. 00:07
1000명당 사망률·출생률 같아져
"보육정책 중심 인구대책 벗어나
일자리·근로시간 등도 챙겨야"
인구 절벽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10월 자연 인구 증가율은 0%. 10월 기준으로 처음이다. 이런 추세면 곧 인구가 감소세로 전환할 가능성이 크다. 인구 감소는 생산·소비 축소를 유발하는 등 한국 경제·사회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다.
26일 통계청에 따르면 10월 출생아 수는 2만5648명을 기록했다. 1년 전보다 836명(3.1%) 줄었다. 10월 기준으로 1981년 통계 집계 이래 가장 적다. 출생아 수는 2016년 4월 이후 43개월 연속으로 월 최저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시야를 다른 달로 넓히면 2017년 12월(-0.4%)과 2018년 12월(-0.9%)에 인구 증가율이 0%를 밑돈 적이 있다. 하지만 12월은 특수성이 있다. 한파 등으로 사망자는 많고, 출산은 다음해 초로 미루는 경향이 있어 신생아 수가 1년 중 가장 적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 11·12월에도 인구 증가율이 0% 이하를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 그만큼 인구 감소 시점이 앞당겨지고 있다는 신호다.
실제 인구 감소세가 가파르다. 10월 기준 인구 자연증가 수는 2017년 3233명이었으나 지난해 1464명으로 급감한 데 이어 올해는 고작 128명이다. 월별로 따져보면 12월을 빼고는 마이너스를 기록한 적이 없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인구 자연증가 수는 곧 감소 추세로 돌아설 것 같다”고 말했다.
정부가 예상한 올해 출생아 수 전망치(30만9000명) 달성은 달성은커녕 출생아 수 30만 명 선 붕괴를 걱정해야 할 판이다. 올해 10월까지 출생아 수는 총 25만7966명. 전망치를 넘기려면 11월과 12월 총 5만1034명이 태어나야 한다. 그러나 연말로 갈수록 출생아 수는 줄어드는 경향이 있는 데다 그마저도 해마다 감소하고 있다. 2016년까지 40만 명대를 유지하던 연간 출생아 수는 2017년 35만7771명, 지난해 32만6822명으로 급감하고 있다.
조성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저출산연구센터 부연구위원은 “그간의 인구 정책은 무상보육 등 기혼자의 보육정책에 초점을 맞춰 왔다”며 “앞으로는 일자리·근로시간·육아휴직 등 미혼자의 경제적 문제와 삶의 질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 부연구위원은 이어 “정부가 저출산 대책으로 2006~2018년 143조원을 썼다고 하지만 국내총생산(GDP) 대비 지출 규모를 고려하면 1% 남짓”이라며 “GDP의 3~4%를 인구대책으로 투자하는 유럽의 경우도 10~20년에 걸쳐 효과가 나타난 만큼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세종=하남현·허정원 기자 ha.namhyun@joongang.co.kr
'추억의 글들 > 아옛날이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부대 이전·해체로 마을 공동화.. 생업 위기에 살길이 막막" (0) | 2019.12.09 |
---|---|
군부대에 경제활동 기댄 양구 주민들 "2사단 해체 즉각 철회하라" (0) | 2019.08.10 |
동두천~백마고지 경원선 열차 다음달부터 2년간 올 스톱 (0) | 2019.03.30 |
1997년 말, 미국은 왜 한국을 집어삼키려 했나? (0) | 2018.12.13 |
[스크랩] 37세 경찰대, `로스쿨 방식`으로 순혈주의 깬다 (0) | 2018.07.31 |